경제용어

그리드플레이션이란

투매니저 2024. 12. 9. 09:19
반응형

먼저 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줄임말로 물가가 상승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제용어로 통화량이 팽창하고 상당 기간에 걸쳐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은 최근 경제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으로, 기업의 탐욕이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용어는 '탐욕(greed)'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대기업들이 고물가를 이용해 가격을 과도하게 인상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그리드플레이션 유럽 그래프

 

 

그리드플레이션의 정의

탐용과 인플레이션의 결합: 그리드플레이션은 기업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하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물가 상승이 아니라, 기업의 이윤추구가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그리드플레이션의 배경

경제적 요인: 2022년 미국에서 물가가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대기업들이 가격을 인상하는 데 대한 비난이 커졌습니다. 이들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공급망이 재편되고 생산비용이 상승했다고 주장합니다.

정치적 논란: 그리드플레이션은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일부 정치인들은 대기업의 탐욕이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킨다고 주장하며, 반대편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반박합니다.

 

그리드플레이션 한국 그래프

 

그리드플레이션의 영향

소비자와 노동자: 그리드플레이션은 소비자에게는 생활비 증가로 이어지고, 노동자에게는 실질임금 감소를 초래합니다. 이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활 수준을 저하합니다.

기업의 가격 인상: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을 핑계로 가격을 인상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림플레이션이란  (3) 2024.12.11
디플레이션이란  (0) 2024.12.10
스테그플레이션이란  (0) 2024.12.09
슈링크플레이션  (2) 2024.12.08
경제플레이션의 개요  (0) 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