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47

레밍효과란

레밍 효과란 군중심리에 의해 사람들이 무작정 따라 하는 행동을 말합니다또 다르게는 군중 속에 휘말려 판단하는 투자자들을 비유할 때 '레밍 투자자'라 합니다.  레밍은 북극에 사는 작은 설치류로, 먹이를 찾아 집단으로 이동하다가 절벽에서 선발대가 뛰어내리면 그 뒤를 따르던 수많은 레밍 떼가 뛰어내려 한꺼번에 익사 당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레밍이 집단으로 벼랑을 뛰어내려 자살한다고 믿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주식 투자를 기업의 펀더멘탈(매출액이나 영업이익 외에 기업 재정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은 보지도 않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투자자들이 주식 공부는 하지 않고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지시를 따르는 경향도 레밍과 같은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5.03.06

회색 코뿔소란

회색 코뿔소는 예상할 수 있는 위험을 간과하여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미셸 부커(Michel C. M. de Vries)가 제안하였으며, 블랙 스완(예측 불가능한 사건)과는 달리, 회색 코뿔소는 이미 경고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나타냅니다.  회색 코뿔소의 정의정의: 회색 코뿔소는 개연성이 높고 파급력이 큰 위기이지만,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간과하는 위험을 말합니다. 이는 예측이 가능하고 경고가 주어지지만, 사람들은 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비교: 블랙 스완 사건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반면, 회색 코뿔소는 지속적인 경고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회색 코뿔소의 특징예측 가능성: 회색 코뿔소는 이미 알려진 위험으로, 사람들이 이를 무..

경제용어 2025.03.05

코픽스(COFIX)란

코픽스(COFIX)는 "Cost of Funds Index"의 약자로, 은행연합회가 8개 은행(기업, 국민, 농협, 신한, 우리, 하나, 한국씨티, SC제일)으로부터 자금조달 정보를 받아 산출하는 자금조달비용지수로, 주택담보대출 금리 결정에 사용됩니다. 코픽스는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자금조달방법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예금, 채권 발행 등)에 따라 코픽스가 달라집니다.금리 변동코픽스는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하며, 이는 대출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정기적 발표코픽스는 매월 발표되며, 이를 통해 대출자들은 자신의 대출 금리가 어떻게 변할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최근 동향 및 영향2024년 10월 기준 신규취급액기준 COFIX는 3.40%, 잔액기준은 3.63%로 ..

경제용어 2025.03.05

중립금리란

중립금리는 경제가 균형 상태에 있을 때의 실질기준금리 말합니다. 여기서 균형 상태란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인플레이션이 중앙은행의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때, 경제가 과열되거나 침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금리 수준입니다. 중립금리 결정 요소경제 성장률: 경제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반영합니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 중립금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인플레이션: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 중립금리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실업률: 실업률이 낮고 고용이 안정적일 때 중립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중립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며, 실제 금리가 중립금리보다 낮으면 경제가 과열될 위험이 있..

경제용어 2025.03.03

임팩트 투자란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는 사회적, 환경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재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즉 투자자가 단순히 재정적 이익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사회적 또는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나 기업에 자본을 투자하는 것으로"가치와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 방식"을 말합니다.  임팩트 투자의 주요 특징사회적 및 환경적 목표: 임팩트 투자는 특정한 사회적 또는 환경적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는 투자 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빈곤 감소, 교육 향상, 환경 보호 등이 포함됩니다.재정적 수입: 임팩트 투자자는 투자로부터 재정적 수익을 기대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투자와의 차별점으로, 단순히 기부나 자선 활동과는 다릅니다.측정 가능성: 임팩트 투자..

경제용어 2025.02.28

웨이스트테크란

웨이스트테크는 쓰레기와 폐기물을 처리하고 재활용하는 기술 및 산업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합니다.  웨이스트테크의 정의정의: 웨이스트테크는 '폐기물(Wast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쓰레기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재활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말합니다. 웨이스트테크의 주요 기능효율적인 수거: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처리 기술: 폐기물을 처리하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재활용 촉진: 폐기물의 재활용을 촉진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웨이스트테크의 필요성환경 문제 해결: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

경제용어 2025.02.26

빅컷(BIG CUT)이란

빅컷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큰 폭으로 인하하는 조치로,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0.25%포인트씩 이루어지지만, 빅컷은 0.5%포인트 이상으로 금리를 하향 조정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조치는 경제 상황이 매우 안 좋거나 경기 부양이 시급할 때 주로 시행됩니다.  빅컷의 정의정의: 빅컷(Big Cut)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보다 큰 폭(일반적으로 0.50%P)으로 인하하는 통화정책 조치를 말합니다.일반적인 금리 인하: 보통 금리 인하는 0.25%포인트씩 이루어지며, 이는 급격한 경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빅컷의 필요성경제 상황: 경제가 심각하게 악화하거나 경기 부양이 필요할 때 중앙은행은 빅컷을 단행하여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자 합니다.시장 반응: 빅컷은 금융시장..

경제용어 2025.02.25

근원물가란

근원물가(근원 인플레이션, core inflation)는 소비자 물가지수(CPI)에서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 상승률을 말합니다. 근원물가는 경제의 기본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근원물가의 주요 특징변동성 제거: 식품과 에너지는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제외함으로써 보다 중앙은행이나 정책 계획이나 안건을 만들 때 인플레이션의 기본적인 경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정책 결정: 중앙은행은 근원물가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여 통화 정책을 결정합니다. 근원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경제적 신호: 근원물가는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소비자 수요, 생산 비용, 임금 상승 등 다..

경제용어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