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근원물가란

투매니저 2025. 2. 20. 00:41
반응형

근원물가(근원 인플레이션, core inflation)는 소비자 물가지수(CPI)에서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 상승률을 말합니다. 근원물가는 경제의 기본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근원물가 추이

근원물가의 주요 특징

변동성 제거: 식품과 에너지는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제외함으로써 보다 중앙은행이나 정책 계획이나 안건을 만들 때 인플레이션의 기본적인 경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정책 결정: 중앙은행은 근원물가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여 통화 정책을 결정합니다. 근원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신호: 근원물가는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소비자 수요, 생산 비용, 임금 상승 등 다양한 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장기적 추세: 근원물가는 단기적인 가격 변동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통계청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근원물가지수 추이/통계청

 

근원물가는 경제 분석 및 정책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와 경제학자들이 경제 상황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로 여겨집니다. 

반응형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이스트테크란  (0) 2025.02.26
빅컷(BIG CUT)이란  (0) 2025.02.25
그린워싱이란  (0) 2025.02.18
그린택소노미란  (0) 2025.02.18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이란  (0) 2025.02.16